목록분류 전체보기 (231)
코딩 기록들

def solution(arr): answer = [] answer.append(arr[0]) for i in range(len(arr)-1): if arr[i] != arr[i+1]: answer.append(arr[i+1]) return answer

def solution(answers): answer = [] score = [0,0,0] # score = [s1정답개수, s2정답개수, s3정답개수] s1 = [1,2,3,4,5] # 길이 = 5 s2 = [2,1,2,3,2,4,2,5] # 길이 = 8 s3 = [3,3,1,1,2,2,4,4,5,5] # 길이 = 10 for i in range(len(answers)): if answers[i] == s1[i%5]: # answer의 i인덱스값 = s1의 i인덱스값이 같다면, 즉 정답이라면 score[0] += 1 # score 값, 즉 정답개수 +1 if answers[i] == s2[i%8]: score[1] += 1 if answers[i] == s3[i%10]: score[2] += 1 # e..

내가쓴 풀이) def solution(sizes): answer = 0 # 1) sizes 안의 각 배열 마다 인덱스값을 정렬한다 (내부리스트안에서 정렬) for i in range(len(sizes)): sizes[i] = sorted(sizes[i]) # 2) sizes 안의 배열을 하나씩 비교해서 제일 큰값을 return(리스트간 정렬) sizes = sorted(sizes) # 3) sizes 배열들의 인덱스 0, 인덱스1의 최댓값을 구해서 곱하기 answer = max(r[0] for r in sizes) * max(r[1] for r in sizes) # 리스트 각 열에서 최댓값 구하기 return answer 참고한 풀이) def solution(sizes): row = 0 col = 0 f..

나의풀이 def solution(n): # n=12 answer = [] a = 2 # n을 2로 계속 나누다가 홀수가 되는 시점부터 a+1 한 값으로 나눠떨어지는 값을 answer에 저장 while a n=3 4) 3//3->n=1 else: # 3) a+1 해줌 (a=3) a += 1 return list(dict.fromkeys(answer)) # dict.fromkeys(문자열 혹은 리스트) # -> 문자열 혹은 리스트의 원소를 중복 제거 후 남은 원소들을 value가 없는 key로 저장 나의풀이 def solution(my_string): answer = 0 a = [] for i in my_string: if i == str(1): answer += int(i) if i == str(2): a..

모음제거 풀이1 def solution(my_string): my_string = my_string.replace('a','') my_string = my_string.replace('e','') my_string = my_string.replace('i','') my_string = my_string.replace('o','') my_string = my_string.replace('u','') return my_string 풀이2 def solution(my_string): vowels = ['a','e','i','o','u'] for vowel in vowels: my_string = my_string.replace(vowel, '') return my_string 문자열 정렬하기(1) def so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