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Python (3)
코딩 기록들
if문 들여쓰기 - if문 만들때는 if 조건문 : 바로아래 문장부터 if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 해주어야함 if 조건문: 수행할문장 1 수행할문장 2 수행할문장 3 조건 판단하기 위한 연산자 - x or y = 둘중하나만 참이면 참 - x and y = 둘다 참이어야 참 - not x = x가 거짓이면 참 - in - ex) x in [], (), 문자열 - '~안에' 라는 뜻 if문을 한줄로 작성하기 pocket = ['paper', 'money', 'cellphone'] if 'money' in pocket: pass else: print("카드를 꺼내라") 조건부 표현식 message = "success" if score >= 60 else "failure" 정의) 조건문이 참 인 경우 ..
변수 :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를 만들때 - ' = ' 기호 사용 ex. 변수이름 = 변수에 저장할 값 >>> a = [1,2,3] [1,2,3] 값을 가지는 리스트자료형(객체)이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되고, a는 [1,2,3] 리스트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기리킴 리스트를 복사할때 - [ : ] 사용 - 리스트 전체를 기리킴 - copy 모듈 사용 from copy import copy a = [1,2,3] b = copy(a) 변수 만드는 여러가지 방법 튜플로 대입 >>> a, b = ('python', 'Life') (튜플은 괄호 생략해도됨) >>> (a, b) = 'python', 'Life' 리스트로 변수만들기 >>> [a,b] = ['pyton', 'Life']4 여러개 변수에 같은..

1. 숫자형 - 정수형 - 실수형 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- 8진수(숫자가 0o, 0O로 시작), 16진수(숫자가 0x로 시작) 숫자형의 연산자 - ** : x의 y제곱 ex) a=3, b=4 -> a**b = 81 - % : 나눗셈후 나머지 반환 - // : 나눗셈후 몫 반환 2. 문자열 자료형 - 문자열 길이구하기 : len 함수 사용 ex) a="Life is too short", len(a) = 17 - 문자열 인덱싱 : 형태) a[숫자] 문자열안의 특정한 값 뽑아냄 ex) a[0] : 앞에서 첫번째 문자, a[-1] : 뒤에서 첫번째 문자 - 문자열 슬라이싱 : 형태) a[시작번호 : 끝번호] *끝번호에 해당하는것은 포함하지 않는다* 한글자가아닌, 여러글자(ex단어) 뽑아낼때 사용 # 슬라이싱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