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 기록들

[ Cloud Computing] 0.1 Docker 본문

Cloud Computing

[ Cloud Computing] 0.1 Docker

코딩펭귄 2022. 11. 6. 22:48

 

container를 하나하나 만들어어내는것 = containerization

 

 

container (왼쪽 그림)

컨테이너를 만든다 = 일반적으로 아주 용량이 큰 서버를 만들고, host os를 만들고, 그 위에 hypervisor을 만든다

  = > 가상머신만들수있음  -> 그 위에 guest os를 올린다  = 이걸 '가상화기술' 이라고 한다.

 

가상화기술 장점 = 독립적 서버가 돈다, 서버의 용량을 100%가까이 쓸수 있다(보통은 28%)

단점 = 오버헤드가 많이걸려 충분한 성능이 안나옴, 크기가 넘 ㅜ큼

 

virtual Machines (오른쪽그림 )

--> 이를 해결하기위한것 : Docker, (리눅스에서 시작됨, 현재는 윈도우에서도 돌아감)

- docker = container 자체를 배포하는것! (시스템환경 같도록)

 

 

docker image = 각각의 상태를 저장해놓은 file

우리가 실습시 사용했던건 Ubuntu 22.XX~~ -> 옛날버전의 Ubuntu 8 등등은 (오른쪽사진)AppA자리쪽인, 컨테이너에 넣어놓음 -> 사실 완벽한 이 자리가아닌, 이미 다른사람들이 만들어놓은 쌓여있는 컨테이너들(=리포지터리)을 다운로드받아서, 로컬디스크에 해당이미지를 저장하고나면 그걸로 이미지 띄움

 

 

컨테이너의 이미지들이 저장되어있는것 = 이미지 제일 오른쪽의 Registery

Docker의 기본적인 명령어들은 알아둬야함

이미 만들어져있는 컨테이너를 가져와서 쓸 줄 알아야함

 

 

DataBase 써야되면 = mySQL 이 들어간 컨테이너 쓰면 됨

웹사이트 만들어야되면 = WordPress 가 들어간 컨테이너 쓰면됨

- > 이 컨테이너들이 들어오면, 바로 실행시킨면, 이게 서비스가 됨(고래모양)